수술을 통해 청신경에 전기적 자극을 직접 제공함으로써 손상되거나 상실된 유모세포의 기능을 대행하는 전기적 장치이다. 일반보청기로 도움이 되지 않는 양측성 심도의 감각신경성난청 또는 농 상태에 이른 난청자를 주 대상으로 한다. 방법은 정원창을 거쳐서 고실계 내부에 전극을 삽입하여 소리자극을 받지 못하는 청신경을 전기적 에너지로 직접 자극한다.
송화기: 음향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입력장치
어음처리기: 증폭기와 신호변환기의 역할을 동시에 하며, 입력신호를 여러가지 방법으로 조작
송신기: 어음처리기로부터 신호를 받아 신호를 와우내 전극으로 전달
전극: 와우신경을 전기적으로 직접자극하는 역할
2세미만: 양측 90 dB HL 이상 그리고 3개월 이상의 보청기 착용에도 청능발달이 없는 경우(뇌막염의 합병증등 시급한 수술 필요시는 예외)
2-15세: 양측 70 dB HL 이상 , 3개월 이상 보청기 착용에도 어음분별력과 언어능력에 진전이 없는 경우, 수술후 인공와우 못할것으로 예상되는 정신지체, 신체적인 결함은 예외
15세이상: 양측 70 dB HL 이상 그리고 문장언어 평가 50%이하, 시술후 인공와우 못할것으로 예상되는 경우는 예외
잔여청력을 완전히 파괴, 예상된 결과 또는 수술후의 높은 어음 변별이 나온다는 보장은 없다. 성공하지 못한 수술 및 재활에 따르는 청력악화의 위험성
이 게시물/페이지가 얼마나 유용했습니까?
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합니다.
평균 평점 0 / 5. 투표 수: 0
지금까지 투표가 없습니다! 이 게시물을 평가하는 첫 번째 사람이 되십시오.
이 게시물 또는 페이지가 귀하에게 유용하지 않아 죄송합니다!
게시물을 개선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.
이 게시물 또는 페이지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귀하의 네트워크는 offline상태입니다. offline인 경우에도 저희 app은 사용 가능합니다.